자폐

ABA의 교육전략

안나07 2024. 2. 1. 22:24

ABA의 기본원리

ABA의 기본 원리에 따르면 학습에는 3개의 구성요소가 필요합니다. 첫 번째는 아동이 반응하게 하는 단서로서의 역할을 하는 어떤 자극으로, 아동은 그 자극에 반드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두 번째, 아동은 그 자극에 뒤따라 어떤 행동을 해야 합니다. 세 번째, 아동은 옳은 행동을 한 것에 대해 어떤 종류의 결과나 피드백을 경험해야 합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우리는 아동이 자극에 반응하여 새로운 행동을 보다 빨리, 더 자주, 더 쉽게 하기를 원하고, 새로운 기술이나 행동을 더 넓은 범주의 적절한 맥락에서 사용하기를 (일반화) 바랍니다. 

 

주의 끌기

지시를 하거나 행동 모델을 보여 주고, 행동을 하고 보상이 주어지는 전 과정동안 아동의 주의를 끌고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A-B-C(선행사건-행동-결과)

선행사건은 행동이 나타나기 전 발생하는 자극을 말합니다. 결과는 행동 후 즉각적으로 주어지는 것입니다. 선행사건-행동-결과는 세 단어의 유관을 정의하는 것이며, 이 순서는 특정 학습절차를 정의합니다. 학습은 자극이 되는 사건과 행동 사이에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입니다. 결과의 종류는 이 관계의 본질을 결정합니다. 교육은 선행사전과 결과를 조정하여 선행사건과 행동 사이의 관계성을 강하게 하거나 약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결과는 강화, 처벌, 소거가 포함됩니다. 선행사건과 결과를 조정하면서 행동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은 조작적 행동치료의 필수요소입니다. 

 

목표행동 촉구하기

교육 장면 안에서 학습자는 선행사건 다음에 어떤 방식으로든 배워야 하는 행동을 보여야 합니다. 그렇게 하였을 때 보상이 이루어짐으로써 자극과의 연관성이 강화됩니다. 어떤 행동들은 이미 아동의 행동 레퍼토리에 있는 것들이지만 적절한 자극 조건 아래에서 나타나지 않기도 합니다. 어떤행동들은 아직 아동의 행동 레퍼토리에 없기 때문에 성인이 행동을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성인은 아동이 특정 자극 조건이 있을 때 어떤 행동을 촉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지시, 제스처 또는 자극 기능의 역할을 하는 도구, 선행사건이 되는 행동이 이에 해당합니다. 

 

결과 조정하기 

기술적으로 결과를 조정하는 것은 아동이 초기 학습을 빠르게 성취하도록  하고, 쉽게 소거되지 않는 아동의 강한 습관을 만들고, 행동을 적절하게 일반화하며, 문제행동을 감소시킵니다. 강화의 강도, 타이밍, 빈도는 행동의 질, 지속성, 속도, 빈도 뿐만 아니라 학습 속도에 영향을 줍니다. 다양한 학습 목표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 전략이 사용됩니다.

 

용암법

특정 자극이 있을 때 학습자가 새로운 행동을 하게 만들기 위해 촉구를 사용하는 동시에 이를 체계적으로 없애야 하는데 이는 행동이 촉구에 의해서가 아니라 차별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게 하기 위해서 입니다. 성인이 촉구하지 않으면 아동이 목표행동을 하지 않는 등 촉구에 의존하는 현상을 막기 위해 체계적인 용암법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용암법은 아동이 기술을 일반화하여 다른 사람들 앞에서도 행동하도록 가르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