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폐

자폐증 가족의 참여

by 안나07 2024. 10. 24.
반응형

가족의 참여

부모와 가족의 참여는 초기 자폐증 개입에 있어 가장 좋은 방법으로 여겨지며 ESDM개입에 있어서도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ASD 아동이 그들의 초대 능력치를 발달시키고자 한다면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생리적 결함이 없는 아동이 경험하는 만큼이나 더 많은 학습의 기회를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ASD 아동에게 그들이 깨어 있는 동안 타인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부모 및 양육자가 아동과 하루 종일 상호작용을 해 나가는 방법을 배웠을 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우리는 ASD 영유아가 최상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부모가 상호작용 기술을 습득하여 아동이 깨어 있는 동안 아동과의 사호작용 상황을 조성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ESDM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가정 및 다른 일상 세팅에서 이런 상호작용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ESDM에서 가족과 하는 작업 중 많은 부분이 부모가 사호작용 기술을 습득하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코치하는 것 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일방적인 과정이 아닙니다. 가족의 스타일, 가치, 선호, 목표, 꿈 등은 자녀의 ESDM 치료 계획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부모는 모든 영유아에게 주된 선생님입니다. ASD 영유아의 부모 교육은 아동의 향상 정도에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하지만 ASD는 매우 복잡한 장애이고, 부모는 보통 매일의 일상에 치료기법을 끼워 넣기 위해 가이드와 지원, 도움을 필요로 합니다. 

 

부모는 치료의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데 참여합니다. 부모는 그들의 교육 계획을 세우고, 하루 중 새로운 기술을 적용(일반화)하기 위한 일과나 기회를 파악하면서 치료 과정에 참여합니다. 부모는 발달 커리 큘럼을 가르치고 부적절한 행동을 변화시키는 작업에 있어 공동치료사입니다. 

 

그들은 행동의 기능 평가를 실행하고, 대체 행동을 가르치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을 주며, 이 계획을 아동이 깨어 있는 동안 가정에서 실행합니다. 부모와 가족 구성원이 가정에서 개입을 실시하는 정도는 가정마다 매우 상이하지만, 보통 하루에 1~2시간 정도, 자연스러운 가족 활동, 예를 들면 식사, 외출, 옷입기, 배변, 목욕, 잠들기 등에 개입을 포함시킵니다. 

 

ESDM에서의 부모-아동 개입은 특정 양육 기술이 아동의 의사소통, 놀이, 그리고 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강력한 영향력을 보여 주는 정상 아동 발달 대상의 연구 내용을 반영합니다. 양육 기술은 아동의 언어 발달의 속도와 질에 영향을 줍니다. 이것은 자녀의 학업 성취 수준에도 영향을 줍니다. 또한 아동의 정서 발달 및 또래관계, 미래의 연인관계, 부모와의 관계등 중요한 사회적 관계의 질에도 영향을 줍니다. 양육 스타일을 아동의 일생, 세대를 걸쳐 발달에 영향을 줍니다. 

 

오랜 기간 동안 이런 내용이 ASD 아동에게 적용될 수 있다는 인식이 부족했고, ASD 아동이 보이는 사회적 관계에서의 생리적 결함이 양육 스타일의 개인차를 능가한다고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최근 연구 결과들을 ASD 아동의 부모에게서도 정상 발달 아동 집단에 존재하는 동일한 관계가 나타남을 보여 줍니다. ASD 아동은 애착 안정도에서 변동성을 보이며, 몇몇 그룹은 정상 발달 아동 그룹에서처럼 부모가 아동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방식이 애착 안정도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 주었습니다.

 

일부 증거는 이런 패턴이 보다 눞은 연령대의 ASD 아동 집단에게서도 나타나며 부모와의 애착 안정도는 정상 발달 아동 집단에서처럼 또래관계 패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 주었습니다. 3가지 연구는 부모가 아동의 주의를 끄는 방식과 반대되는, 아동의 리드를 따라가는 의사소통 스타일이 ASD 아동의 언어발달에 오랜 기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 주었고 이는 정상 발달 아동 집단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 결과입니다.

 

부모가 아동의 의사소통이나 흥미에 더 잘 대응하고 더 민감하게 반응할수록 언어, 인지, 사회적 발달에서의 아동의 발달 속도가 증가한다는 새로운 증거들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는 ASD 아동의 부모가 덜 민감하고 덜 반응적이라는 의미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많은 연구들이 이런 의문을 제기하였지만, 모든 연구에서 ASD 자녀를 둔 부모가 다른 집단과 비슷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하지만 집단을 살펴보면 ASD 아동 집단은 다른 집단과 비교 시 그들의 부모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ASD 영유아는 일반적으로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먼저 시작하는 일이 많지 않습니다. 그들은 보통 직접적인 의사소통을 하지 않고, 감정을 공유 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대개 자신의 감정을 표정과 몸을 통해 표현하지 못합니다. 그들은 종종 발화와 제스처에서 발달지연을 보이며, 이런 방식을 이용하여 의사소통을 할 수 있더라도 그들은 부모와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는 데 이를 사용하는 빈도가 아주 낮습니다. 

 

그러므로 부모가 자녀와의 상호작용에서 자신의 역할을 한다고 하더라도 아동은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시작하고 지속하기 위한 자신의 역할을 하지 못합니다. 이에 따라 아동과 부모 사이의 상호작용의 수와 상호작용 안에서 발생하는 의사소통적 내용이 크게 감소하게 되는데, 이것은 아동의 학습 기회를 제한하고, 부모가 아동에게 민감하고 반응적으로 반응하는 기회를 제한하며, 그들의 상호작용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부모로부터의 긍정적인 피드백(강화)을 제한합니다. 

 

ESDM 방식의 개입방법 아동이 상호작용을 시작하고 반응하는 - 아동단서 - 빈도의 수를 상당히 증가시키고, 이런 단서를 보다 쉽게 인식될 수 있는 관습적인 의사소통 방식으로 행동형성합니다. 이것은 부모가 보다 미묘한 단서를 끌어내고 읽어 내도록 도와줌으로써 부모가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는 아동의 의사소통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결국 이것은 부모가 상호작용을 성공적으로 만들 수 있는 미묘한 신호를 탐지할 수 있게 도와주고, 부모가 그들의 상호작용하려는 강화를 받을 수 있도록 해 줍니다. 

 

 

 

반응형

'자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폐범주성장애의 특징  (0) 2024.10.26
자폐범주성장애  (0) 2024.10.26
ESDM 교육 전략  (0) 2024.10.24
자폐 교육전략 종합하기  (1) 2024.10.23
자폐 아동의 교수방법  (1) 2024.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