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폐

자폐유아 구어습득의 중간 형태

by 안나07 2024. 10. 26.
반응형

함묵증

함묵증은 전혀 소리를 내지 않는 철저한 무언증으로부터 약간의 소리를 동반하는 형태까지 다양합니다. 학자에 따라 표현어휘가 전혀 없을 경우만을 함묵증에 분류하기도 하고, 매우 제한된 표현어휘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이에 포함시키기도 합니다. 

 

Schuler는 함묵증을 어떠한 소리도 내지 않는 완전함묵증, 자기 자극이나 소리 유희를 위한 약간의 소리를 동반하는 기능적 함묵증, 그리고 욕구나 거부 등 즉각적인 표현을 하기 위한 어휘가 충분치 못하여 나타나는 준함묵증 등으로 나누었습니다. 이 중에서 준함묵증은 자폐보다는 언어장애아동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Schuler는 함묵증의 종류와 그들의 언어 이해력과의 관계를 설명하였는데, 완전 함묵증은 언어 이해력이 거의 없고, 기능적 함묵증은 매우 제한되어 있으며, 준함묵증은 비교적 발달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 외에도 선택적 함묵증이 있는데, 이것은 특정한 장소와 사람에게만 말을 하는 형태로, 자폐성장애아동의 초기 함묵 증세와는 완전히 다른 것입니다. 

 

자폐성장애아동의 언어이전기 함묵증이나 반향어에 대하여 분석한 연구들은 자폐성장애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옹알이르르 적게 하고 옹알이의 형태도 다소 비정상적이었다고 보고하였습니다. Ricks는 자폐성장애아동이 첫 해에는 별로 옹알이를 하지 않다가 3~5세가 되어서야 옹알이를 시작하는데, 그들의 옹알이는 졸음 오는 음성과 같이 다소 단조로운 형태를 나타내었다고 보고 하고 있습니다. 

 

일부 자폐성장애아동은 평생 함묵증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언어를 습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함묵증으로부터 언어로 발달되는 예후의 요인들로는 함묵증이 유지된 기간, 지능 수준, 사회적 반응도, 음소 산출 능력, 구어 모방 능력등을 들수 있습니다. 

 

특히, 함묵증이 유지된 기간과 지능은 매우 중요한 요인들로 간주되어 왔는데, 일반적으로 대략 5~6세까지 함묵증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언어습득의 예후가 그리 좋지 못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5~6세가 넘어서까지 함묵증을 나타내는 아동에게 의사소통 중심의 언어 훈련을 실시한 사계 연구들은 자폐성장애아동의 약간의 수화나 매우 제한된 어휘를 습득했을 뿐, 언어 기술을 습득하지는 못했다고 보고하였습니다. 

 

지능 수준에 대해서는 대략 IQ 50~70 이상이 되어야 예후가 좋다고 볼 수 있다는 IQ 70을 기준으로 지능이 높은 집단과 지능이 낮은 집단으로 나누어서 언어습득 시기, 즉 함묵증이 소멸되는 시기를 살펴보았는데, 지능이 낮은 집단의 아동은 4세 7개월에, 지능이 높은 집단의 아동은 2세 6개월에 함묵증이 소멸되었다고 보고하였습니다. 

 

자폐성장애의 함묵증이 소멸되는 양상과 관련하여 매우 흥미로운 점은 그들이 갑자기 매우 명료하고 완벽한 문장을 구사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문장들은 대개 지연반향어의 형태로서 창조적인 문장은 아닙니다. 무발화 시기를 거쳐 나타난 자폐성장애아동의 언어는 대개 반향어의 형태를 띱니다. 함묵의 기간은 구어 표현 능력의 결함보다는 인지 능력이나 언어 이해력의 결함과 더욱 관련이 깊은 것으로 보입니다. 

 

사회성 요인에 대해서 Bagley 와 McGeein 은 반응도가 높았던 함묵증아동이 그렇지 못했던 아동보다 청소년기의 사회숙성도 발달이 훨씬 나았다는 사례를 보고하였습니다. Nishimura 와 그의 동료들은 7세에 표현언어 능력을 습득한 아동 집단과 그렇지 못한 아동 집단에 대하여 그들의 유아기 특성을 비교하였습니다. 

 

두 집단 모두 IQ가 70 이하였으며 4세까지 함묵증을 나타낸 아동이었으나, 언어를 습득한 아동은 어릴 때 발성이 많았고 그들의 옹알이나 발성에 다양한 음소들이 포함되어 있엇던 반면, 언어를 습득하지 못한 아동의 경우는 옹아이는 했어도 그 속에 포함된 음소들이 다양하지 못햇던 것으로 보고 되었습니다. 

 

구어 모방 능력과 관련해서 Carr 과 그의 동료들은 기능적인 언어는 없지만, 구어 모방 능력이 뛰어난 자폐성장애아동이 그렇지 못한 아동에 비하여 어휘 이해력에서 더 나은 진전을 보였다고 보고하였습니다. 또한 DeMyer 등의 연구에서는 실행증이 의사소통과 적응 행동, 그리고 모방을 통한 학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자폐증 증상 중의 하나라고 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가 크게 주목을 받아 오지 못하다가 최근 자폐성장애아동의 실행증과 연관된 구강 운동 문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자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폐영유아의 반향어 기능 및 형태  (2) 2024.10.28
자폐성장애아동의 반향어  (0) 2024.10.27
자폐범주성장애의 특징  (0) 2024.10.26
자폐범주성장애  (0) 2024.10.26
자폐증 가족의 참여  (2) 2024.10.24